https://vmspace.com/project/project_view.html?base_seq=Mjc2MA==&page=7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60696661
https://www.touringwiki.com/2022/03/blog-post_8.html
https://klood.tistory.com/entry/travel-seoul-culturetank
https://www.seouland.com/arti/society/society_general/3013.html
https://inmun360.culture.go.kr/content/382.do?mode=view&cid=104346
http://www.living-sens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924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03633
http://www.autohera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031
https://biz.heraldcorp.com/view.php?ud=20210812000661
https://data.si.re.kr/photo/06m02701ac10000
https://twitter.com/spacemagazine00/status/1245529630871699456
http://www.emoza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07
https://data.si.re.kr/photo/06m02707ac10000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img_pg.aspx?CNTN_CD=IE002207898
http://www.daljin.com/blog/17469
1/16

문화비축기지
1

운영 종료휴무- T1~T6탱크

서울 마포구 증산로 87

02-376-8410 전화하기

마포구 서울월드컵경기장 인근 매봉산에 에워싸인 문화비축기지는 일반인의 접근과 이용이 철저히 통제됐던 산업화시대 유산인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도시재생을 통해 시민 품으로 돌아오게 된 문화공원이다. 1973년 석유파동 이후 1976~78년에 5개 탱크를 건설해 당시 서울시민이 한 달 정도 소비할 수 있는 양인 6,907만ℓ의 석유를 보관했던 마포석유비축기지는 2002년 월드컵을 앞두고 안전상의 이유로 폐쇄되었다. 10년 넘게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다가 지난 2013년 시민아이디어공모를 통해 문화비축기지로의 변신을 결정했다. 당시 석유를 보관하던 탱크들은 석유 대신 매일 색다른 문화를 창출하는 문화탱크로 역할이 바뀌었다. 기존 5개의 탱크는 열린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하였고, 해체된 탱크의 철판을 활용해 만들어진 T6는 시민들의 커뮤니티 공간이 되었다. 비어있던 야외 공간은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는 문화 마당으로 만들었으며, 부지에 남아있던 수림은 최대한 보존하고 다양한 종류의 꽃과 나무를 심어 공원으로 조성했다. 석유와 건설 중심의 산업화 시대를 대표하던 공간이 친환경과 재생, 문화가 중심이 되는 생태문화공원으로 거듭났다. 시장을 비롯해 전시, 공연, 워크숍 등 색다른 문화 행사가 열리고 있다. [출처: 한국관광공사]

영상 🎬

주변